<흙건축 전문가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2018 흙과 건축 이야기
흙은 1만 년 역사 속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여진 재료이자 현재 세계 인구의 반이 흙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흙은 친환경/생태건축과 함께 떠오르는 연관검색어 중 하나이자, 마치 새롭게 개발된 ‘친환경 신재료’로 인식되거나 아직 약하고 잘 부서지는 옛재료로만 알고 있습니다. 이에 지속가능한 현대 재료로서의 흙의 가치를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따뜻한 아랫목이 생각나는 이 즈음에 지나온 흙집 이야기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흙+건축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 보는 것은 어떨런지요?
평소에 흙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모든 분들을 이 자리에 초대합니다. 마음을 열고 오늘의 흙 이야기 그리고 건축 이야기를 함께 나누기를 바랍니다.
|일시 2018.1.20 (토) 14:00-16:00
|장소 완주군립중앙도서관 3층 다목적강당
|참가비 없음 (무료 강좌)
|문의처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063-714-4666
|흙건축 전문가
· 황혜주 (사)한국흙건축연구회 대표/국립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김순웅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학장/국립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양준혁 흙건축협동조합TERRACOOP 이사장/흙건축 시공전문가
· 강남이 (주)클레이맥스 본부장/흙 재료 전문가
· 손율희 휘경 건축사사무소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 박수정 건축사사무소 동행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 이학래 건축사사무소 집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상기 내용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최 (사)한국흙건축연구회
| 주관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국립목포대학교 흙건축연구실
| 후원 완주군 일자리경제과, 건축사사무소 동행, 건축사사무소 집, (주)클레이맥스,
휘경 건축사사무소, 흙건축협동조합TERRACOOP
흙은 1만 년 역사 속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여진 재료이자 현재 세계 인구의 반이 흙집에서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흙은 친환경/생태건축과 함께 떠오르는 연관검색어 중 하나이자, 마치 새롭게 개발된 ‘친환경 신재료’로 인식되거나 아직 약하고 잘 부서지는 옛재료로만 알고 있습니다. 이에 지속가능한 현대 재료로서의 흙의 가치를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따뜻한 아랫목이 생각나는 이 즈음에 지나온 흙집 이야기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흙+건축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 보는 것은 어떨런지요?
평소에 흙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모든 분들을 이 자리에 초대합니다. 마음을 열고 오늘의 흙 이야기 그리고 건축 이야기를 함께 나누기를 바랍니다.
|일시 2018.1.20 (토) 14:00-16:00
|장소 완주군립중앙도서관 3층 다목적강당
|참가비 없음 (무료 강좌)
|문의처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063-714-4666
|흙건축 전문가
· 황혜주 (사)한국흙건축연구회 대표/국립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김순웅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학장/국립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양준혁 흙건축협동조합TERRACOOP 이사장/흙건축 시공전문가
· 강남이 (주)클레이맥스 본부장/흙 재료 전문가
· 손율희 휘경 건축사사무소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 박수정 건축사사무소 동행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 이학래 건축사사무소 집 대표/흙집 설계 전문가
*상기 내용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최 (사)한국흙건축연구회
| 주관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국립목포대학교 흙건축연구실
| 후원 완주군 일자리경제과, 건축사사무소 동행, 건축사사무소 집, (주)클레이맥스,
휘경 건축사사무소, 흙건축협동조합TERRACO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