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전 취지
흙은 생명의 근원이며 오랜 세월 인간을 보듬어 준 어머니라 할 수 있다. 흙을 통해 사람은 먹고 자라고 땀 흘리고 잠들었으며, 나아가 인류 문화의 바탕이 되어 온 것이다. 특히 농경문화에 깊은 뿌리를 가진 우리의 정서 속에서 흙은 삶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우리 민족 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흙을 이용한 전통적인 건축방식은 버려지고 대체되었으 며 오늘날에는 활용 가치를 잃어버린 과거의 재료로 인식되어 진화와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고 잊혀 져 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흙은 더 이상 과거의 재료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흙의 가 치와 가능성이 재조명되고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흙건축의 현대적 적용과 진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이 땅의 가장 근원적 재료인 흙이 과거의 봉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현대적 감성 과 미래적 가치들을 부여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자 한다. 흙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기 위한 우리 의 다양한 노력들이 퇴적되고 다져져서 흙이 다시 건축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우리 앞에 서기를 희 망하는 것이다.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은 이런 과정을 만들어 가는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흙 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고 현대적, 미래적 발전을 도모하며 한 단계 높은 성장을 위해서 흙은 단순한 마감 재료나 구조재로서의 고찰과 연구만이 아닌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디자인도구로서의 이용과 시 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경향하우징페어와 한국 흙건축연구회가 함께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제정하여 전통적인 재료 의 현대적 탄생을 기다리는 기회로 삼고, 많은 실험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펼치고자 한다.
2016 - Jardin de Terre : 광화문 광장 - 흙의 정원이 되다
대지 위치 : 광화문 세종대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정면 장방형 광장 약 2916㎡ (사진참조)
J'aime fort les jardins qui sentent le sauvage,
J'aime le flot de l'eau qui gazouille au rivage.
(나는 야생의 정원을 좋아한다,
나는 물가의 속삭임을 좋아한다.)
- Pierre de Ronsard
정원... 우리에게 다소 낯선 말이다.
하지만 못내 그리운 말이 아닌가 싶다.
흙...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다.
하지만 왠지 낯설기만 하다.
흙의 정원... 친근하지만 낯선 두 단어가 모여서 우리가 사는 이곳에 하나의 의미 있는 장소가 되고자 한다. 나지막이 속삭이는 거친 땅...
대지 및 프로그램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37°34'26.4"N 126°58'36.5"E)
▪ 제시된 주제 “흙의 정원”의 건축적 표현을 설명하기 위한 모든 방식은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대지 의 위치는 제시된 세종대로 광화문 광장의 범위 이내(약 2916㎡)로 선정하되 규모는 자유롭게 하며, 프로그램은 도시인의 생활 속에서 흙의 정원이 가지게 될 가능성에 대한 1) 개념적 접근에서부터, 주제를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2)구체적인 구성 요건들(하드웨어)과 이들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3)시 스템(소프트웨어)적 구상들까지도 폭넓은 선택이 가능하다.
참가자격
▪자격 제한 없고 1인 1작에 한함
참가신청 및 참가비
▪참가신청 마감 : 2015년 12월 14일(월) ~ 2016년 1월 7일(목) 오후 18:00 이전 (온라인 등록)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 : 웹하드 다운로드 (www.webhard.co.kr, ID : terrakorea2016, PW : 2016 )
▪참가 신청서 접수 : terrakorea2016@gmail.com으로 참가신청서 접수
▪접수비 : 5만원 (신한은행 100-025-394974,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확인된 접수자에 한하여 접수번호를 이메일로 개별공지
* 참가신청은 참가신청서 및 참가비 결제 확인 시 완료되며, 입금된 참가비는 절대 반환 불가
* 접수 후 접수자 명의 양도할 수 없음 ※ 참가자 입금 시 본인명의로 입금 요망
응모일정
▪작품 접수: 2016년 2월 4일(목), 5일(금) 이틀간 오전 10시~오후18:00까지 웹하드에 업로드
(업로드 과정에서의 안전한 파일제출에 관한 부분은 참가자 본인 책임)
▪작품 제출 : 온라인제출 (www.webhard.co.kr, ID : terrakorea2016, PW : 2016 )
▪수상작 발표: 2016년 2월 24일 예정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홈페이지 게시 (www.terrakorea.com)
▪수상작 전시회: 2016년 2월 24일~2월 28일 경향하우징페어 일산 킨텍스 전시장
▪시상식 및 작품발표회: 2016년 2월 25일 (목) 13:00
* 위 일정은 주최 측의 사정과 전시 일정에 따라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변경 시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공지합니다.
시상내역
▪대상 1명 : 상금 5,000,000 원
▪우수상 1명 : 상금 2,000,000원
▪가작 2명 : 상금 각 500,000원
▪특선 입선 다수 : 상장과 기념품 수여
작품 제출 규격
▪A1 size (594 X 841) 해상도 200dpi 준수 . 파일명: 접수번호.jpg (예 : 001.jpg)
패널 내용 중 출품자의 소속을 표기하거나, 상징적으로 소속을 알 수 있는 텍스트나 이미지가 포함 되지 않아야 합니다.
* 제목 및 패널 내용은 영문 표기 원칙(한글 병기 권장) 아라비아숫자, 미터법을 사용합니다.
* 출품규격과 규정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작품 및 마감시간을 준수하지 않은 작품은 심사대상에 서 제외됩니다.
기타 사항
웹하드를 통한 온라인 접수 시 발생하는 업로드 상에서의 파일 미접수 문제나 파일의 훼손에 대한 불이익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으므로, 출품자의 주의를 바랍니다.
타 공모전에 중복 출품되었거나 타인의 작품과 유사한 출품작은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며, 수상 이후 라도 결과를 취소합니다.
수상작의 작품에 대한 복제권, 임의 변경권, 광고 및 홍보사용권 등 행사, 판매, 유통, 홍보활동에 소 요되는 모든 활동의 권리는 주최측에 귀속됩니다.
*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공모전의 최종심사가 끝날 때까지 익명으로 심사
*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 및 개인 신상에 대한 정보는 본 공모전과 홍보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유출하지 않습니다.
공모전 취지
흙은 생명의 근원이며 오랜 세월 인간을 보듬어 준 어머니라 할 수 있다. 흙을 통해 사람은 먹고 자라고 땀 흘리고 잠들었으며, 나아가 인류 문화의 바탕이 되어 온 것이다. 특히 농경문화에 깊은 뿌리를 가진 우리의 정서 속에서 흙은 삶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우리 민족 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흙을 이용한 전통적인 건축방식은 버려지고 대체되었으 며 오늘날에는 활용 가치를 잃어버린 과거의 재료로 인식되어 진화와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고 잊혀 져 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 흙은 더 이상 과거의 재료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흙의 가 치와 가능성이 재조명되고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흙건축의 현대적 적용과 진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이 땅의 가장 근원적 재료인 흙이 과거의 봉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현대적 감성 과 미래적 가치들을 부여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자 한다. 흙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기 위한 우리 의 다양한 노력들이 퇴적되고 다져져서 흙이 다시 건축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우리 앞에 서기를 희 망하는 것이다.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은 이런 과정을 만들어 가는 중요한 출발점으로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흙 건축의 가치를 복원하고 현대적, 미래적 발전을 도모하며 한 단계 높은 성장을 위해서 흙은 단순한 마감 재료나 구조재로서의 고찰과 연구만이 아닌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디자인도구로서의 이용과 시 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경향하우징페어와 한국 흙건축연구회가 함께 흙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제정하여 전통적인 재료 의 현대적 탄생을 기다리는 기회로 삼고, 많은 실험적인 디자인 가능성을 펼치고자 한다.
2016 - Jardin de Terre : 광화문 광장 - 흙의 정원이 되다
대지 위치 : 광화문 세종대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정면 장방형 광장 약 2916㎡ (사진참조)
J'aime fort les jardins qui sentent le sauvage,
J'aime le flot de l'eau qui gazouille au rivage.
(나는 야생의 정원을 좋아한다,
나는 물가의 속삭임을 좋아한다.)
- Pierre de Ronsard
정원... 우리에게 다소 낯선 말이다.
하지만 못내 그리운 말이 아닌가 싶다.
흙...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다.
하지만 왠지 낯설기만 하다.
흙의 정원... 친근하지만 낯선 두 단어가 모여서 우리가 사는 이곳에 하나의 의미 있는 장소가 되고자 한다. 나지막이 속삭이는 거친 땅...
대지 및 프로그램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37°34'26.4"N 126°58'36.5"E)
▪ 제시된 주제 “흙의 정원”의 건축적 표현을 설명하기 위한 모든 방식은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대지 의 위치는 제시된 세종대로 광화문 광장의 범위 이내(약 2916㎡)로 선정하되 규모는 자유롭게 하며, 프로그램은 도시인의 생활 속에서 흙의 정원이 가지게 될 가능성에 대한 1) 개념적 접근에서부터, 주제를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2)구체적인 구성 요건들(하드웨어)과 이들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3)시 스템(소프트웨어)적 구상들까지도 폭넓은 선택이 가능하다.
참가자격
▪자격 제한 없고 1인 1작에 한함
참가신청 및 참가비
▪참가신청 마감 : 2015년 12월 14일(월) ~ 2016년 1월 7일(목) 오후 18:00 이전 (온라인 등록)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 : 웹하드 다운로드 (www.webhard.co.kr, ID : terrakorea2016, PW : 2016 )
▪참가 신청서 접수 : terrakorea2016@gmail.com으로 참가신청서 접수
▪접수비 : 5만원 (신한은행 100-025-394974,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확인된 접수자에 한하여 접수번호를 이메일로 개별공지
* 참가신청은 참가신청서 및 참가비 결제 확인 시 완료되며, 입금된 참가비는 절대 반환 불가
* 접수 후 접수자 명의 양도할 수 없음 ※ 참가자 입금 시 본인명의로 입금 요망
응모일정
▪작품 접수: 2016년 2월 4일(목), 5일(금) 이틀간 오전 10시~오후18:00까지 웹하드에 업로드
(업로드 과정에서의 안전한 파일제출에 관한 부분은 참가자 본인 책임)
▪작품 제출 : 온라인제출 (www.webhard.co.kr, ID : terrakorea2016, PW : 2016 )
▪수상작 발표: 2016년 2월 24일 예정 (사)한국흙건축연구회 홈페이지 게시 (www.terrakorea.com)
▪수상작 전시회: 2016년 2월 24일~2월 28일 경향하우징페어 일산 킨텍스 전시장
▪시상식 및 작품발표회: 2016년 2월 25일 (목) 13:00
* 위 일정은 주최 측의 사정과 전시 일정에 따라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변경 시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공지합니다.
시상내역
▪대상 1명 : 상금 5,000,000 원
▪우수상 1명 : 상금 2,000,000원
▪가작 2명 : 상금 각 500,000원
▪특선 입선 다수 : 상장과 기념품 수여
작품 제출 규격
▪A1 size (594 X 841) 해상도 200dpi 준수 . 파일명: 접수번호.jpg (예 : 001.jpg)
패널 내용 중 출품자의 소속을 표기하거나, 상징적으로 소속을 알 수 있는 텍스트나 이미지가 포함 되지 않아야 합니다.
* 제목 및 패널 내용은 영문 표기 원칙(한글 병기 권장) 아라비아숫자, 미터법을 사용합니다.
* 출품규격과 규정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작품 및 마감시간을 준수하지 않은 작품은 심사대상에 서 제외됩니다.
기타 사항
웹하드를 통한 온라인 접수 시 발생하는 업로드 상에서의 파일 미접수 문제나 파일의 훼손에 대한 불이익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으므로, 출품자의 주의를 바랍니다.
타 공모전에 중복 출품되었거나 타인의 작품과 유사한 출품작은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며, 수상 이후 라도 결과를 취소합니다.
수상작의 작품에 대한 복제권, 임의 변경권, 광고 및 홍보사용권 등 행사, 판매, 유통, 홍보활동에 소 요되는 모든 활동의 권리는 주최측에 귀속됩니다.
*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공모전의 최종심사가 끝날 때까지 익명으로 심사
*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 및 개인 신상에 대한 정보는 본 공모전과 홍보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유출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