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Korea2013-1(한국흙건축연구회지 제2호) <교육>
한국흙건축연구회지인 TerraKorea2011을 발간한 이래 두 번째 회지가 나왔습니다.
매년 발간하겠다던 스스로의 약속을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습니다.
이 곳 저 곳에서 묵묵히 흙건축의 길을 걷던 많은 분들이 모여서 한국흙건축연구회를 만들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시작한 006년 이래, 2013년은 가장 뜻깊은 한 해라고 생각합니다.
그간의 노력과 역량이 결집되어 아시아 최초로 체계적 흙건축교육을 진행하는 교육기관인 유네스코석좌 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가 개교하였고, 이 학교의 교육이 진행되어 첫 이수자를 배출하였습니다.
또한 올해에는 이를 바탕으로 한 흙건축전문가들이 배출되리라 기대합니다. 한국흙건축학교가 개교를 하면서 그 준비로 인하여 회지 발간이 늦어졌다고 그리고 앞으로는 더 충실하고 좋은 내용을 담아 매년 발간하겠다는 약속으로 변명을 대신합니다.
TerraKorea2013에는 교육, 봉사활동, 연구, 국제교류, 공모전 , 프로젝트 부분으로 나누어 지난 2년간의 활동들을 담았습니다. 이번 회지에도 흙건축이 우리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흙의 정신과 흙건축의 마음은 무엇인지, 그리고 흙건축을 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떠해야하는지 깊은 성찰을 계속해 오고 있는 연구회의 노력들이 담겨 있습니다. 한 장, 한 장, 찬찬히 살펴보아 주시길 바랍니다.
이 회지가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노고가 있었습니다. 먼저 꾸준한 흙건축활동을 통하여 이 사회에, 이 시대에 건축인으로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고민과 그 해답을 탐구하면서 애쓰신 회원들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그 결과로 이 회지가 마련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들을 놓치지 않고 하나하나 모아 이 회지에 담아주신 편집위원들께 특히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이 회지는 단순한 회지 차원을 넘어,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려는 열정을 드러내는 것이고, 힘들고 지쳐 포기하고 싶을 때 새로운 힘을 주는 따뜩한 격려가 되고, 또 다시 신반근을 조여매는 채찍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회지가 앞으로 모이고 쌓여 우리나라 흙건축의 살아있는 역사기록이 될 것입니다. "올바른 흙건축에 대한 다짐과 미래에 대한 벅찬 기대를 발간사로 대신하여 전합니다."라는 첫 발간사를 다시 적으면서 더욱 정진하겠다는 다짐을 나누고자 합니다.
2014년 2월
한국흙건축연구회 대표 황혜주
<교육 목차>
유네스코 석좌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
2012 산청 흙건축 봄 워크샵
산청 흙건축 여름 워크샵
2013 5월 흙건축 봄 워크샵
8월 흙건축 여름 워크샵
11월 흙건축 가을 워크샵
2013 6월 벽체 흙미장 및 리모델링 과정
7월 흙쌓기 공법 과정
9월 바닥 흙미장 및 리모델링 과정
10월 흙벽돌 공법 과정
2013 흙건축 이론과정
청소년 흙건축 실습교육
흙건축 체험교육
흙건축 직접,진로교육
흙건축 캠프
TerraKorea2013-1(한국흙건축연구회지 제2호) <교육>
한국흙건축연구회지인 TerraKorea2011을 발간한 이래 두 번째 회지가 나왔습니다.
매년 발간하겠다던 스스로의 약속을 지키지 못해 송구스럽습니다.
이 곳 저 곳에서 묵묵히 흙건축의 길을 걷던 많은 분들이 모여서 한국흙건축연구회를 만들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시작한 006년 이래, 2013년은 가장 뜻깊은 한 해라고 생각합니다.
그간의 노력과 역량이 결집되어 아시아 최초로 체계적 흙건축교육을 진행하는 교육기관인 유네스코석좌 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가 개교하였고, 이 학교의 교육이 진행되어 첫 이수자를 배출하였습니다.
또한 올해에는 이를 바탕으로 한 흙건축전문가들이 배출되리라 기대합니다. 한국흙건축학교가 개교를 하면서 그 준비로 인하여 회지 발간이 늦어졌다고 그리고 앞으로는 더 충실하고 좋은 내용을 담아 매년 발간하겠다는 약속으로 변명을 대신합니다.
TerraKorea2013에는 교육, 봉사활동, 연구, 국제교류, 공모전 , 프로젝트 부분으로 나누어 지난 2년간의 활동들을 담았습니다. 이번 회지에도 흙건축이 우리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흙의 정신과 흙건축의 마음은 무엇인지, 그리고 흙건축을 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떠해야하는지 깊은 성찰을 계속해 오고 있는 연구회의 노력들이 담겨 있습니다. 한 장, 한 장, 찬찬히 살펴보아 주시길 바랍니다.
이 회지가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노고가 있었습니다. 먼저 꾸준한 흙건축활동을 통하여 이 사회에, 이 시대에 건축인으로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고민과 그 해답을 탐구하면서 애쓰신 회원들께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그 결과로 이 회지가 마련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과들을 놓치지 않고 하나하나 모아 이 회지에 담아주신 편집위원들께 특히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이 회지는 단순한 회지 차원을 넘어,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려는 열정을 드러내는 것이고, 힘들고 지쳐 포기하고 싶을 때 새로운 힘을 주는 따뜩한 격려가 되고, 또 다시 신반근을 조여매는 채찍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회지가 앞으로 모이고 쌓여 우리나라 흙건축의 살아있는 역사기록이 될 것입니다. "올바른 흙건축에 대한 다짐과 미래에 대한 벅찬 기대를 발간사로 대신하여 전합니다."라는 첫 발간사를 다시 적으면서 더욱 정진하겠다는 다짐을 나누고자 합니다.
2014년 2월
한국흙건축연구회 대표 황혜주
<교육 목차>
유네스코 석좌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
2012 산청 흙건축 봄 워크샵
산청 흙건축 여름 워크샵
2013 5월 흙건축 봄 워크샵
8월 흙건축 여름 워크샵
11월 흙건축 가을 워크샵
2013 6월 벽체 흙미장 및 리모델링 과정
7월 흙쌓기 공법 과정
9월 바닥 흙미장 및 리모델링 과정
10월 흙벽돌 공법 과정
2013 흙건축 이론과정
청소년 흙건축 실습교육
흙건축 체험교육
흙건축 직접,진로교육
흙건축 캠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