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석좌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 연구과정
정 지 연
지도교수 황 혜 주
국 문 초 록
본 연구 목적은 작은 집의 함의로 본 흙건축의 가치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스몰하우스 운동과 우리의 전통 건축에서 발견되는 작은 집에 담긴 함의를 살펴보았고 여기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흙건축의 가치를 도출했다. 흙건축의 가치는 기존의 연구가 없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했다. 이에, 연구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국의 스몰하우스 운동과 우리의 전통 건축을 통해 본 작은 집의 함의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작은 집은 ‘나의 삶을 바꾸는 건축’이다.
둘째, 작은 집은 ‘환경’과 ‘자연’을 인식하고 배려하는 것이다.
셋째, 작은 집은 관계가 확장되고, 확장된 관계가 선순환 되는 데 도움이 되는 집이다.
2) 흙건축을 배우는 학생과 전문가집단이 생각하는 흙건축의 보편적 가치를 작은 집의 함의에서 도출한 키워드로 분석해 보면 첫째 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 둘째 관계를 맺고 선순환 하는 건축, 셋째 삶을 바꾸는 건축이다. 입문기간별로 분석해보면 흙건축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나와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입문 시간이 길어질수록 흙건축을‘관계’을 회복하고 확장하는 건축으로 인식한다. 이는 작은 집을 짓는 사람들이 ‘나’에서 출발해 ‘타자’와 ‘관계’로 사고가 확장해가는 과정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다. 주목할 것은 입문 1년 이상 그룹에서는 기타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는 점이다. 흙이라는 재료가 주는 재료적 장점과 정서적 가치에 더 많은 비중을 둔 답변들이다. 특히 이런 결과는 흙건축에 대한 개인적 가치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40세 이상 집단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이는 흙건축만의 고유한 가치에 주목하는 것인 만큼 향후 흙건축의 가치를 연구하는데 있어 놓치지 말아야 할 사항이다.
3) 연구결과, 흙건축의 보편적 가치를 묻는 질문의 답변 중 82%, 개인적 가치를 묻는 질문의 답변 중 59%가 작은 집의 함의에서 도출된 세 가지 키워드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작은집의 함의로 본 흙건축은 작은 집의 함의에 부합하는 건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삶의 방식을 바꾸고 자연을 배려하며 공동체와 세계의 관계를 인식하고 확장시켜나가는 건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작은 집이 가진 함의에 흙건축의 가치가 부합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향후 작은 집과 흙건축의 발전적 조합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작은 집의 함의와는 별도로 드러난 흙건축의 가치들(재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전통적 가치)에 주목하고 앞으로 흙건축의 가치와 철학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논문키워드 : 작은 집, 흙건축, 함의, 가치, 철학, 소유, 소비, 자연, 환경, 친환경, 공존, 관계, 생태, 선순환, 건축
The value of the Earth Architecture investigated the Implication of Small-hous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the soil building with the implication of the small house. To this end, looked at the implications contained in a small house that is found in the small house movement in US and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is was drawn to the value of the soil building people regards with the extracted keywords. The value of soil building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due to absence of existing studies. In results, study obtained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implications of small house found in samll house movement in US and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small house is "change my life building '.
Second, the small house is to recognize and care for 'environment' and 'nature'.
Third, the small house relationship is extended and will help you to have extended relationship for virtuous circle.
2) An analysis by the keyword drawn from implication of small house for the common value of earth architecture students and professionals to learn the clay construction group shows soil construction is ;
First, natural eco-friendly construction,
Second, construction that builds relationships that have virtuous circle
Third, the building life-changing .
The analysis by stage, the newcomer in earth construction starts from interest in myself and nature and recognized as a earth construction as restoring and expanding relationship.
This is something to do with the progress that thought of small house builders is evolved from "myself" to "others" and "relationshops". The remarkable phenomenon is that other answer is common in the group of over one year experience. Answers are placed more emphasis on merits of material and emotional value of the soil. In particular, this result is even more evident in the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and appears even more clearly in the answers to questions of personal value for soil building.
This is what we should not miss in studying the value of earth construction as it pays attention to the unique value of itself.
3)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82% of respondent on universal value of earth construction and 59% of respondent on individual value are relevant to three keyword derived from the implications of the small hou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oil buidling by the implication of small house corresponds to construction by implication of small house. This means changing the way of life care for nature and the building to recognize and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world.
Found that implication of small house is accord with the value of soil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we need to study the way of evolutionary process of combination of soil building and small house and pay more attention on the value of soil building other than implication of small house (material value, emotional value, traditional value).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individual study on the the value and philosophy of soil building will be needed.
유네스코 석좌프로그램 한국흙건축학교 연구과정
정 지 연
지도교수 황 혜 주
국 문 초 록
본 연구 목적은 작은 집의 함의로 본 흙건축의 가치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스몰하우스 운동과 우리의 전통 건축에서 발견되는 작은 집에 담긴 함의를 살펴보았고 여기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흙건축의 가치를 도출했다. 흙건축의 가치는 기존의 연구가 없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했다. 이에, 연구수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국의 스몰하우스 운동과 우리의 전통 건축을 통해 본 작은 집의 함의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작은 집은 ‘나의 삶을 바꾸는 건축’이다.
둘째, 작은 집은 ‘환경’과 ‘자연’을 인식하고 배려하는 것이다.
셋째, 작은 집은 관계가 확장되고, 확장된 관계가 선순환 되는 데 도움이 되는 집이다.
2) 흙건축을 배우는 학생과 전문가집단이 생각하는 흙건축의 보편적 가치를 작은 집의 함의에서 도출한 키워드로 분석해 보면 첫째 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 둘째 관계를 맺고 선순환 하는 건축, 셋째 삶을 바꾸는 건축이다. 입문기간별로 분석해보면 흙건축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나와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입문 시간이 길어질수록 흙건축을‘관계’을 회복하고 확장하는 건축으로 인식한다. 이는 작은 집을 짓는 사람들이 ‘나’에서 출발해 ‘타자’와 ‘관계’로 사고가 확장해가는 과정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다. 주목할 것은 입문 1년 이상 그룹에서는 기타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는 점이다. 흙이라는 재료가 주는 재료적 장점과 정서적 가치에 더 많은 비중을 둔 답변들이다. 특히 이런 결과는 흙건축에 대한 개인적 가치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40세 이상 집단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이는 흙건축만의 고유한 가치에 주목하는 것인 만큼 향후 흙건축의 가치를 연구하는데 있어 놓치지 말아야 할 사항이다.
3) 연구결과, 흙건축의 보편적 가치를 묻는 질문의 답변 중 82%, 개인적 가치를 묻는 질문의 답변 중 59%가 작은 집의 함의에서 도출된 세 가지 키워드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작은집의 함의로 본 흙건축은 작은 집의 함의에 부합하는 건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삶의 방식을 바꾸고 자연을 배려하며 공동체와 세계의 관계를 인식하고 확장시켜나가는 건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작은 집이 가진 함의에 흙건축의 가치가 부합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향후 작은 집과 흙건축의 발전적 조합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작은 집의 함의와는 별도로 드러난 흙건축의 가치들(재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전통적 가치)에 주목하고 앞으로 흙건축의 가치와 철학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논문키워드 : 작은 집, 흙건축, 함의, 가치, 철학, 소유, 소비, 자연, 환경, 친환경, 공존, 관계, 생태, 선순환, 건축
The value of the Earth Architecture investigated the Implication of Small-hous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the soil building with the implication of the small house. To this end, looked at the implications contained in a small house that is found in the small house movement in US and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is was drawn to the value of the soil building people regards with the extracted keywords. The value of soil building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due to absence of existing studies. In results, study obtained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implications of small house found in samll house movement in US and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small house is "change my life building '.
Second, the small house is to recognize and care for 'environment' and 'nature'.
Third, the small house relationship is extended and will help you to have extended relationship for virtuous circle.
2) An analysis by the keyword drawn from implication of small house for the common value of earth architecture students and professionals to learn the clay construction group shows soil construction is ;
First, natural eco-friendly construction,
Second, construction that builds relationships that have virtuous circle
Third, the building life-changing .
The analysis by stage, the newcomer in earth construction starts from interest in myself and nature and recognized as a earth construction as restoring and expanding relationship.
This is something to do with the progress that thought of small house builders is evolved from "myself" to "others" and "relationshops". The remarkable phenomenon is that other answer is common in the group of over one year experience. Answers are placed more emphasis on merits of material and emotional value of the soil. In particular, this result is even more evident in the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and appears even more clearly in the answers to questions of personal value for soil building.
This is what we should not miss in studying the value of earth construction as it pays attention to the unique value of itself.
3)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82% of respondent on universal value of earth construction and 59% of respondent on individual value are relevant to three keyword derived from the implications of the small hou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oil buidling by the implication of small house corresponds to construction by implication of small house. This means changing the way of life care for nature and the building to recognize and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world.
Found that implication of small house is accord with the value of soil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we need to study the way of evolutionary process of combination of soil building and small house and pay more attention on the value of soil building other than implication of small house (material value, emotional value, traditional value). Therefore, it is regarded that individual study on the the value and philosophy of soil building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