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건축학교 소개
흙건축학교는 (사)한국흙건축연구회를 모태로 하여 2013년에 개교한 흙건축전문 교육기관으로
흙건축의 이해와 철학, 흙건축 재료와 공법에 대한 기술교육을 다양한 수요에 맞추어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프로그램(UNESCO Chair Earthen Architecture)과정은
1998년에 프랑스 흙건축연구소(CRATerre)에서 창립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저희 기관이 유일하게 인준을 받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흙건축학교 주요활동
1. 교육 - 흙건축에 관심 있는 사람 및 단체를 대상으로 흙 기초이론 및 집짓기기술 교육
2. 연구 - 흙의 단점을 보완하고 흙건축의 현대화를 위한 재료와 신기술과 시공방법 연구
3. 봉사 - 흙건축 교육으로 익힌 지식과 기술로 친환경재료를 이용해 국.내외 노후화된 어린이,
노인시설 등의 공공시설을 개선하는 활동
4. 전시 - 흙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흙을 표현
5. 시공 - 이동식 농막 또는 소형 찜질방 제작입니다.
현재까지 흙건축 종합과정 교육생은 약 1,600명이며,
이 중에서 약 60명이 흙건축전문가과정에 진학하여 8명의 흙건축 전문가를 배출하였습니다.
교육실습과정을 통해 전남 완주군일대에 마을 흙집사랑방을 14개소 완공하였고, 26개소의 노후주택 리모델링을 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흙건축 대중화교육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사회공헌대상" 교육부분을 수상하였습니다.
흙건축학교가 걸어온 길
2006 한국흙건축연구회 창립총회
2009 프랑스 흙건축연구소(CRATerre)와 MOU 체결
2010 무안 감풀마을 어린이 도서관 건립
2011 국제 흙건축학술대회(TERRASIA 2011) 개최
2012 굿네이버스 국제주거개발사업 기술 지원(네팔, 필리핀)
중국 서안건축 과기대학 흙건축 학술세미나 교류
국제구호개발단체 TEAM&TEAM INTERNATIONAL과 교류 협력
2103 전북 완주군과 흙건축연구회 MOU 체결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완주캠퍼스 개교
인도 오로빌 흙건축연구소와 흙건축연구회 MOU 체결
2104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울진캠퍼스 개교
2015 전북교육청 특수 분야 연구기관으로 지정
흙건축 봉사활동 - 국내외 연계활동
2016 흙건축 마을 사랑방 건립 (14개소)
2018 대한민국 사회공헌 대상 수상
2020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위원회 MOU 체결
굿네이버스 연계 지역봉사활동 진행
2022 농림부 귀농귀촌 맞춤형 교육 선정
2023 완주캠퍼스를 충남 공주로 이전, 공주캠퍼스 개교
2024 유네스코석좌 흙건축학교 분당캠퍼스 개교